반응형
모두가 '주휴수당'이란 말은 한 번씩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는지 혹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오늘 이 글 만 읽는다면 당신도 주변 지인 혹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설명을 할 수 있다.
주휴수당의 정의
주휴수당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당신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을 했고 고용주와 정한 근무 날에 모두 나왔다면
그 주에 법으로 정해진 휴일을 가질 수 있으며 하루분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월급을 받는 경우 주휴수당이 월급에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시간제 근로자는 '1주일 15시간 이상 및 결근'을 보고 주휴수당 지급 여부가 결정된다.
지금부터 사례들을 확인하여 주휴수당 조건을 더 정확히 알아보자!
주휴수당 지급 사례
여러 가지 사례들이 많이 있다.
헷갈린다면 '1주일 15시간 이상 및 NO결근'만 기억하세요.
다음으로는 가장 중요한 주휴수당 계산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한번 본인의 근무시간과 시급으로 직접 계산해서 주휴수당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확인해보면 좋을 거 같다.
주휴수당 계산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은데 본인이 계산할 줄 알아야, 본인이 고용주가 됐을 때,
아니면 계약서를 쓸 때 바로 계산해볼 수 있지 않겠는가?
여기까지 정보들이 유익했으면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까지! (그렇다, 말해보고 싶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22년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을 시작하다. (1) | 2022.02.24 |
---|---|
NFT 도대체 무엇인가? (0) | 2022.02.21 |
영화리뷰) 인어가 잠든 집 - 히가시노 게이고 (0) | 2022.02.19 |
인어가 잠든 집 - 히가시노 게이고 (책 리뷰) (0) | 2022.02.18 |
주식 사는 법 첫 번째 (feat. 증권사 고르기) (2)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