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2년 글

주식 사는 법 첫 번째 (feat. 증권사 고르기)

by 지식모음장 2020. 4. 2.
반응형

사람들이 주식을 한다고 했을 때

그것이 정확이 어떤 건지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왜냐하면 대한민국 사람들은 금융, 경제, 돈에 대해서 공부할 기회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나도 그중 한 사람이었고 내가 공부 한 것들을 공유하면서 같이 배우고 싶다.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로,

우리는 주식을 사고 팔며 시세차익에 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지분이 많을 수록 경영에 영향권을 행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주식이

1주에 100원이라 100개를 샀습니다.

총 10,000원이 들었습니다.

10년 뒤 삼성전자 주식 시세가 1주에 100,000원이 됐습니다.

100개의 10,000원이 -> 천만원이 됐습니다.

이때 100개를 팔았을 때 시세차익, 9,990,000원을 얻은겁니다.

 

우리가 식료품을 사러 마트에 가듯이

주식을 사려면 증권사를 통해 사야 합니다.

이때 우리는 동네 마트를 갈지, 이마트 혹은 코스트코를 가야 할지 정해야 합니다.

국내에는 여러 증권사들이 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증권사 선택기준은

본인이 평소 신뢰하는 브랜드 혹은 거래 하고 있었던 은행을

보고 선택해도 무방한 거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그곳 제품을 많이 쓰고 

그곳에서 만든 광고등을 봤을 때

삼성증권을 선택했습니다.

여러분은 각자 원하는 증권사를 이용해서 주식을 사면 됩니다.

다음 글은 삼성증권에서 비대면 계좌를 만드는 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